과학혁명의 동력
Jump to navigation
Jump to search
과학혁명의 동력 | |
---|---|
제안자 | 최원석 |
자문교원 | 최원석 |
연도 | 2020 |
분류 | |
타입 | B형 과제 |
코스 | 정약용 |
매칭여부 | Yes |
참여학생수 | 3 |
소개동영상 |
제안 배경
Joel Mokyr 등은 서양의 과학혁명이 산업혁명으로 이어져 근대경제체제를 만들고, 서양의 흥기를 초래했다고 주장한다. 경제 분야 뿐 아니라, 과학혁명은 인류의 지적 수준을 크게 바 꾼 사건이기도 하다. 유럽의 여러 국가에 걸쳐 많은 과학자들이 과학의 발전에 가담하고 과학혁명에 기여할 수 있었다. 이 연구에서는 당대 많은 지식인들이 과학혁명에 참여한 이유와 과정, 과학혁명이 유지될 수 있었던 동력에 대해 알아본다.
과제 목표
과학혁명의 과정과 발생 배경에 대해 이해한다. 이를 바탕으로, 과학혁명과 같은 지적 혁신이 어떤 환경에서 나오는지 안다. 과학혁명을 가능케 했던 요인이 무엇인지 안 후에, 그러한 요인이 갖추어진 맥락을 파악한다. 또한, 여러 과학자들의 예시를 통해 당시 지식인들이 과학혁명에 집중했던 원인 및 동력을 이해한다. 마지막으로, 과학혁명이 유럽 문화 전반에 어떤 변화를 초래했는지 연구한다
과제 내용
가. 과학혁명의 이해
- 과학혁명의 정의 및 주요사건
- 과학혁명 발생에 대한 기존의 관점
- 과학혁명의 결과
나. 과학혁명의 동력
- 발생의 조건. (어떻게 가능하게 되었나?)
- 유인의 조건. (왜 많은 지식인들이 주목했나?)
- 지속의 조건. (왜, 어떻게 당시 지식인은 발전을 도모했는가?)
- 파급의 조건. (과학혁명은 어떻게 영향력을 확보했나?)
다. 과학혁명 사례가 현대 사회에 주는 교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