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자회로와 계측법
Jump to navigation
Jump to search
과목번호 | SE235a |
---|---|
학점/이론시수/실습시수 | 2/2/0 |
교과구분 | 교선필수 |
이학/공학 | 이-공 |
대분류 | 기초과학 |
소분류 | 물리, 전자공학 |
최초개설연도 | 2015 |
교수자 | 이기준 |
개설학년 | 2 |
개설학기 | 1 |
교재 | 전자회로와 계측법 eBook |
선수과목 | 전자기학 |
개요
이 수업은 전자회로를 처음 접하거나 자신없는 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만들어져 있다. 1학년 전자기학에서 약간의 회로지식을 배우지만, 실제로 유용한 전자회로를 만들거나 회로도를 이해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수준이므로, 이 수업과 전자회로와 계측법 실험을 모두 수강한다면 앞으로 어떤 전공을 가지게 되든 조금씩은 필요할 전자회로의 기본지식을 갖추게 될 것이다.
이 수업을 성실하게 이수하고 나면, 아래의 능력들이 갖추어 질것이다.
- 기본적인 수동소자, 능동소자 들로 이루어진 간단한 회로들을 읽고 분석하는 눈이 생긴다.
- 반도체 소자들의 기본 작동원리를 전자와 정공의 움직임을 가지고 설명할 수 있다.
- 회로를 입력과 출력을 가진 모듈로서 이해하게 되고 어떤 회로가 좋은 회로인지 알게된다.
- 출력의 일부를 입력으로 되먹임하는 구조가 가져오는 여러가지 장점을 이해한다.
- 세상을 물리적으로 읽고 (input), 쓰는 (output) 기본 능력을 갖추게 된다.
이 수업에서 다루는 내용
-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회로
- 회로의 위상 동형
- 다이오드, 트랜지스터 등 능동소자
- 전달함수와 주파수응답
- 되먹임과 그 장점
- 기본적인 계측법
이 수업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
- 전계효과 트랜지스터
- 디지털 회로
- 마이크로프로세서
교재
- 주교재 : 전자회로와 계측법, eBook, 이기준 (2018)
- 부교재 : The Art of Electronics by Horowitz and Hill
주차별계획
- 전자회로 시작하기 I
- 전자회로 시작하기 II
- 전압분배기, 축전기, 유도기, 임피던스
- 연산증폭기 I
- 연산증폭기의 원리,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전 황금률, 반전증폭기, 비반전증폭기
- 연산증폭기 II
- 미분기, 적분기, 비교기
- 비이상적인 연산증폭기 - 입력바이어스 전압, 입력바이어스 전류, 슬루율
- 반도체물리
- 에너지 띠, 전자와 정공, 도핑, pn접합, 공핍영역
- 다이오드 I
- 지수적 모델, 이상적 다이오드 모델, 일정전압 강하모델
- 다이오드 II
- 반파정류회로, 전파정류회로, 클램퍼, 배전압기, 제너다이오드, LED, 포토다이오드
- 중간고사
-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( Bipolar Junction Transistor )
- 트랜지스터의 4가지 작동모드, 대신호 모델, 트랜스컨덕턴스, 소신호 모델
- 트랜지스터 증폭기
- 이미터 공통 증폭기, 베이스 공통 증폭기, 이미터 팔로워
- 주파수 응답
- 보데 선도, 전달함수, 극점, 영점
- 되먹임
- 일반적인 되먹임 회로의 구성, 개루프이득, 폐루프이득, 루프이득, 이득 둔감성, 입출력 임피던스, 선형성
- 아날로그 필터
- 좋은 필터의 조건, 필터의 종류, RLC 필터, 살렌-키 필터
- 계측기 I
- 디지털 신호, 나이퀴스트 표본화 정리, 반앨리어싱 필터,
- 계측기 II
- 생체신호의 측정, 전자회로의 생물학에서의 응용
- 기말고사
- 수업일수가 모자를 경우 아날로그필터를 생략할 수 있음
평가방법
출석 및 태도 10%, 숙제 20%, 중간고사 30%, 기말고사 40%
기타정보
학생 튜터
- 2018년 1학기 : 최본재
- 2019년 1학기 : 김두희
- 2020년 1학기 : 황대원, 배현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