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ser contributions
Jump to navigation
Jump to search
- 14:55, 2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타임라인)
- 17:38, 19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92) 토론:자율자동차 기반 스마트 캠퍼스 조성 (→일반 질문)
- 15:58, 19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407) 토론:EEG measurements in the zebrafish(Danio rerio) parkinson's disease model confirm the potential of the fish as an in-vivo screening animal model (→일반 질문)
- 15:45, 19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20) 토론:어류 표피의 박테리아가 어류의 상처회복에 미치는 영향 (→일반 질문)
- 16:32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자율자동차 기반 스마트 캠퍼스 조성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
- 16:32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인간유도만능줄기세포를 뇌세포 및 뇌오가노이드로 보다 손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분화시키는 방법의 개발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
- 16:32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여운을 주는 스토리 중심의 Multi-Genre-Game(MGG) 개발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 (current)
- 16:31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어류 표피의 박테리아가 어류의 상처회복에 미치는 영향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
- 16:31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미숙아의 근력측정을 위한 악력, 흡입력 측정 장치 개발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 (current)
- 16:31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단일 시행(One-shot)으로 전혈에서 exosome을 추출/정제/정량적 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자동화된 이미징 기반 기술 개발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 (current)
- 16:31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노화에 따른 말초신경 탈수초화 및 근육제어, 기전 연구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 (current)
- 16:31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EEG measurements in the zebrafish(Danio rerio) parkinson's disease model confirm the potential of the fish as an in-vivo screening animal model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
- 16:30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DGIST 캠퍼스 생활 안전을 위한 4족 보행로봇 개발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 (current)
- 16:30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Analysis of Synaptic Protein Abnormalities in Early Alzheimer's Disease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
- 16:29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91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토론 페이지 작성법)
- 16:24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N 토론: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새 문서: ==일반 질문==) (current)
- 16:23, 17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9) 토론: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current)
- 18:39, 16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86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토론 페이지 작성법)
- 23:26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17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ference)
- 20:30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02) 토론: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가이드라인)
- 20:23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713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ference)
- 20:22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769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Discussion)
- 20:20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25) 토론: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가이드라인)
- 20:19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3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토론 페이지 작성법)
- 20:18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44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토론 페이지 작성법)
- 20:17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25) 토론: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가이드라인)
- 20:17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111) 토론: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고양이가 가장 좋아하는 것?)
- 20:16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10) 토론: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가이드라인)
- 20:16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695) 토론: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
- 20:11, 15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391) N 토론: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고양이가 가장 좋아하는 것?: 새 문단)
- 17:15, 14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79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임다빈 (토론)의 3971판 편집을 되돌림) (Tag: Undo)
- 17:14, 14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Discussion)
- 17:14, 14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,107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
- 17:02, 14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Introduction)
- 17:01, 14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Introduction)
- 17:01, 14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,133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Introduction)
- 18:28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1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임다빈 (토론)의 3608판 편집을 되돌림) (current) (Tag: Undo)
- 18:27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Introduction)
- 15:56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Conclusion)
- 15:52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15:51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73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15:50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PD table.png (current)
- 14:52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14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Theory)
- 14:52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98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14:51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71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14:51, 13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,165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22:01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7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22:00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6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21:59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79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21:57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476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21:54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32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21:53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,020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21:39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53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Future studies)
- 01:13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7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1:13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9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1:12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7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1:02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1:01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1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1:00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89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58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UGRP Sene Senescent cells.png (current)
- 00:51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00:49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5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49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3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45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06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42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9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41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파일:UGRP Sene mid.png (임다빈님이 파일:UGRP Sene mid.png의 새 판을 올렸습니다) (current)
- 00:41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파일:UGRP Sene high.png (임다빈님이 파일:UGRP Sene high.png의 새 판을 올렸습니다) (current)
- 00:38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37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파일:UGRP Sene low.png (임다빈님이 파일:UGRP Sene low.png의 새 판을 올렸습니다) (current)
- 00:35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33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00:32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56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28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5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27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31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22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77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Result)
- 00:18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32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Method)
- 00:15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UGRP Sene Con beta.png (current)
- 00:14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UGRP Sene AAA Beta.png (current)
- 00:13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UGRP Sene high.png
- 00:13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UGRP Sene mid.png
- 00:12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UGRP Sene low.png
- 00:12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UGRP Sene Rna.png (current)
- 00:11, 12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UGRP Sene PD.png (current)
- 23:29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00) 임다빈 (→기타사항) (current)
- 23:24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) 임다빈 (→학부생들과 공유하고 싶은 채널)
- 23:24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0) 임다빈 (→연구경험)
- 23:23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453) 임다빈 (→풀고싶은 문제)
- 23:20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,053) N 임다빈 (새 문서: {{Undergrad |입학연도 (20xx)=18 |DGIST Email ID=frankful@dgist.ac.kr }} ===관심분야=== 1. 학문적으로는 화학(특히 유기 합성)에 관심을 두고 있지만 생명...)
- 23:07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5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현재 입력중인 포스터)
- 23:06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60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현재 입력중인 포스터)
- 23:05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-150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포스터 작성법)
- 23:05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89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현재 입력중인 포스터)
- 23:01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150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포스터 작성법)
- 22:57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22)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→Conclusion)
- 22:55, 10 November 2020 (diff | hist) (+379) N 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(새 문서: {{Poster |Year=2020 |Title=단백질 손상 기반 세포노화모델 확립과 세포노화에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체계 역할 규명 |Authors=안재현, 윤태현, 이...)
- 10:55, 28 October 2020 (diff | hist) (-10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Introduction)
- 10:55, 28 October 2020 (diff | hist) (-23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임다빈 (토론)의 3384판 편집을 되돌림) (Tag: Undo)
- 10:55, 28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23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임다빈 (토론)의 3383판 편집을 되돌림) (Tag: Undo)
- 10:54, 28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9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Introduction)
- 10:47, 28 October 2020 (diff | hist) (-33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임다빈 (토론)의 3381판 편집을 되돌림) (Tag: Undo)
- 10:46, 28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33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Introduction)
- 18:31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-2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Conclusion)
- 18:30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11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Conclusion)
- 18:29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191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Conclusion)
- 18:24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219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Conclusion)
- 18:21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39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Result)
- 18:20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33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Result)
- 18:18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15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Method)
- 18:18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150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Result)
- 18:10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빵떡이 2.jpg (current)
- 18:10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빵떡이 1.jpg (current)
- 18:08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Baby schema forcat.jpg (current)
- 18:06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54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Method)
- 18:03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187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포스터 작성법)
- 18:01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11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Method)
- 18:00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-6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Method)
- 17:57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0) N 파일:Babyschema theory.jpg (current)
- 17:55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0)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→Future studies)
- 17:54, 23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4,616) N 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(새 문서: {{Poster |Year=2020 |Title=우리집 고양이의 귀여움에 관한 고찰 |Authors=임다빈 |Abstract=We often feel cute about cats. But we did not generally think about why you f...)
- 19:17, 15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325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취지)
- 19:13, 15 October 2020 (diff | hist) (-1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포스터 작성법)
- 19:09, 15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11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포스터 작성법)
- 19:01, 15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228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작성 참고 문법)
- 18:44, 15 October 2020 (diff | hist) (+31) Student Symposium Portal (→작성 참고 문법)
- 19:13, 9 November 2019 (diff | hist) (+3) 후성유전학을 통한 항우울제 기작 메커니즘 규명 (→희망학생) (current)
- 19:13, 9 November 2019 (diff | hist) (+1) 후성유전학을 통한 항우울제 기작 메커니즘 규명 (→참고자료)
- 19:12, 9 November 2019 (diff | hist) (+2) 후성유전학을 통한 항우울제 기작 메커니즘 규명 (→과제 내용)
- 19:12, 9 November 2019 (diff | hist) (+2) 후성유전학을 통한 항우울제 기작 메커니즘 규명 (→과제 목표)
- 19:12, 9 November 2019 (diff | hist) (+3) 후성유전학을 통한 항우울제 기작 메커니즘 규명 (→제안 배경)
- 19:12, 9 November 2019 (diff | hist) (+2,709) N 후성유전학을 통한 항우울제 기작 메커니즘 규명 (새 문서: {{UGRP |제안자=임다빈, 이정한 |교수자=오용석, 우혜련 |연도=2020 |타입=B형 과제 |코스=프란시스 크릭 |매칭여부=No }} ===제안 배경=== ・국내...)